1. 개요
이번 포스트에서는 여러 도메인을 운영하면서 발생한 SSL 인증서 문제와, 이 문제가 Google AdSense(구글 애드센스) 검토 실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정리했습니다. 또한 문제의 원인부터 해결까지의 전체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으니, 유사한 환경에서 겪는 분들께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습니다.
| 구분 | 문제 내용 | 원인 분석 |
|---|---|---|
| ① SSL 경로 불일치 | cannot load certificate … No such file or directory 에러 발생 | Nginx 설정에서 참조한 경로(/etc/letsencrypt/live/www.xxx.kr/)와 실제 인증서 경로(/etc/letsencrypt/live/xxx.kr/)가 달랐습니다. |
| ② Certbot 인증 실패 | .well-known/acme-challenge/… 검증 오류, Connection refused | --webroot 방식 인증 중 Nginx가 80포트를 이미 점유해 인증서 발급 요청을 차단했습니다. |
| ③ 도메인별 SSL 불일치 | www. 서브도메인에 별도 인증서 없음 → 보안 경고 발생 | Let’s Encrypt는 정확히 요청한 도메인이 인증서에 포함되어야 하므로, www.가 빠지면 접근 시 인증서 불일치가 생깁니다. |
| ④ AdSense 검토 실패 | “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”, “SSL 문제” 등 검토 차단 | AdSense는 https://www.yoursite.com 기준으로 크롤링하므로, www. 도메인에서 SSL 오류가 나면 검토 자체가 실패됩니다. |
2. 해결 과정 요약
| 단계 | 수행한 조치 | 효과 |
|---|---|---|
| 1단계 | Nginx 설정(default.conf)에서 www.chopping.kr → chopping.kr 인증서 경로로 수정 | SSL 경로 불일치 문제 해결 |
| 2단계 | 서브도메인 n8n.chopping.kr 에 대해 인증서 직접 발급(certbot --standalone) | 서브도메인용 SSL 인증서 확보 |
| 3단계 | tredpick.com 인증서 확인 → www.tredpick.com 서버블록에서 동일 인증서 재활용 | 해당 도메인의 SSL 오류 해결 |
| 4단계 | Certbot 자동 갱신 컨테이너 설정 추가 | 인증서 만료 걱정 없이 자동 유지 가능 |
| 5단계 | 모든 도메인(chopping.kr, blog.chopping.kr, n8n.chopping.kr, tredpick.com) HTTPS 정상 작동 확인 | 전체 트래픽에 HTTPS 적용 및 자물쇠 표시 확보 |
AdSense 측면 영향 분석
AdSense 검토 시 다음 조건이 매우 중요합니다:
https://www.yoursite.com도메인으로 접근 가능해야 함
→ 과거에는www.chopping.kr에 SSL 인증서가 없었기 때문에 브라우저(또는 크롤러)가 보안 경고를 받아 접근을 거부했습니다.- 루트 URL이 301/302 리디렉션 없이 바로 로드되어야 함
→ 예전에는http://www.chopping.kr → https://chopping.kr리디렉션 중 인증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었습니다. - robots.txt / ads.txt 등이 HTTPS 기준으로 접근 가능해야 함
→www.도메인에서 SSL 오류가 나면 크롤러가 해당 파일들을 읽지 못해 검토에 악영향이 있습니다.
현재는 www.chopping.kr과 chopping.kr 모두 동일 SSL 인증서로 커버되어 있고, 리디렉션 및 접근성 문제도 해결된 상태입니다. 따라서 AdSense 검토 통과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.
